씽크누리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1960년대 대학생들 취업문은?

예나 지금이나 대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지금도 많은 대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난에 허덕이지만 여전히 곤궁의 시대를 살았던 1960년대에도 취업은 만만찮은 현실이었습니다. 당시 대학교를 '고등유민양성기관' 이라고 꼬집기도 했지만 비싼 등록금을 대느라 애지중지하던 소까지 팔아야 했기에 '우골탑'이라 부르던 시절입니다. 조선일보 1965년 2월 4일 자 기사에 따르면 대학 졸업생 가운데 10명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최근 들어 어렵게 공부하고 들어간 안정적인 직장의 대표격인 공무원을 중도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중도 퇴직하는 이유 중에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중에 민간에 비해 턱없이 낮은 보수 수준이 늘 거론되죠. 그렇다면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보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e-나라지표에 따르면 2022년도 민간 대비 공무원 보수 수준은 2000년부터 관련 통계 집계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만족도가 가장 높은 직업은?

직업의 종류는 얼마나 될까요? 우리나라에는 직업의 종류가 1만 개가 넘습니다. 더욱이 AI 시대를 맞아 새롭게 등장하는 직업도 매년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만족도가 가장 높을까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2020년도에 우리나라 대표 직업 537개 가운데 사회적, 평판, 고용 안정성, 발전 가능성, 근무 조건, 전반적 직무 만족, 급여 만족도 등 8개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미국인들의 새해 결심 1위는?

신년마다 우리들은 계획을 세우죠. 지난번 소식에서 한국인들이 신년에 세우는 계획들을 살펴봤는데요. 한국인들은 신년 계획으로 저축, 건강 관리, 운동, 재테크 등을 우선 순위에 뒀습니다. 그렇다면 미국인들은 새해에 어떤 결심을 했을까요? 포브스지가 미국 성인 1000명 대상으로 2024년에 결심하는 계획들을 조사해 발표했습니다. 1위는 48%의 응답자들이 '체력 향상'을 꼽았습니다. 아마 코로나 이후로 여러

Sports & Entertain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2023년 전 세계 박스오피스 Top 10

2023년은 코로나 유행이 엔데믹으로 전환되면서 그동안 문화 수요에 목말라하던 많은 관객들이 극장가나 뮤지컬 등 공연장으로 몰려들었습니다. 때문에 영화 관객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2023년 전 세계 극장가를 강타한 최고의 영화는 무엇이 있을까요? 1위는 바로 14억 4천만 달러를 거둬들인 ‘바비’입니다. 마고 로비 주연의 바비는 판타지물로서 특히 주조연급 배우들의 연기가 눈길을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해방 후 테러 급증

최근 야당 대표가 테러를 당해 국내외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 정착됐다 하더라고 정치적 양극단 대립이 치열해지면서 나타나는 폭력적 행위는 결코 있어서는 안되는 엄중 사안이라 할 수 있습니다. 1945년 해방 이후 우리나라는 좌우익의 극한 대립으로 곳곳에 테러가 자행됐는데요. 당시만 해도 민주주의가 아직 제대로 정착되지 않아 폭력적 행위가 난무했다고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불황의 직격탄, 카페의 찐모습?

한동안 한 집 건너 생기던 동네 카페에 찬바람이 몰아치고 있습니다. 동네마다 아기자기한 인테리어로 카페 문을 여는 게 붐이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카페는 손쉽게 창업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우후죽순으로 많이 생겼지만 경기 불황의 직격탄을 피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3년 11월까지 폐업한 카페 수는 1만 1,450개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은?

광역버스를 이용한 출퇴근 대란, 지옥철, 서울과 수도권을 잇는 출퇴근길은 그야말로 고달픈 직장인들의 하루 시작과 마무리입니다. 바쁜 출퇴근 시간으로 하루 업무를 시작하기도 전에 녹초가 되는 경우도 허다하고 퇴근 후 자기 계발을 하려고 해도 진이 빠져 그냥 누워만 있다는 직장인도 많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출퇴근하는데 어느 정도 시간을 쓰고 있을까요? 통계청이 SK텔레콤과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신년에 가장 많이 세운 계획은?

갑진년 새해입니다. 새로운 계획들 세우셨나요? 신년에 새 마음으로 살아갈 여러 가지 계획들을 세우기 마련이죠. 그렇다면 요즘 사람들의 가장 많은 신년 계획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나만의 갑진년 버킷리스트와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씽크누리의 기존 데이터를 분석해 봤더니 1순위는 바로 '저축'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경기가 힘들다 보니 아껴 쓰자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죠. 한정된 수입으로 저축을 늘릴

Cultur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2023년 상반기 공연 티켓 파워 TOP 10

코로나 팬더믹이 종료된 후 그간 문화 목마름에 시달렸던 관객들이 극장을 찾고 있습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6월 말까지 전국적으로 8,541건의 공연이 무대에 올려졌고 약 5,024억 원의 티켓 판매액을 거둬들였는데요. 이는 2022년 상반기와 비교해 공연 건수는 24.4%, 티켓 판매액은 31% 늘어난 수치입니다. 그중에서 뮤지컬과 클래식, 연극 등 3대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1960년대 여성들의 행복이란?

한국의 가부장적 문화는 여성들을 오래도록 힘들게 했습니다. 남성 중심의 지배적 사회에서 능력 있는 여성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그 시절, 기혼 여성들의 행복도를 조사한 내용이 있는데요. 1965년 11월 21일 자 조선일보에 따르면 고려대학교 이태현 교수팀이 ‘기혼녀의 행복’에 대한 조사 결과를 인용한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교수가 서울시내 가정주부 916명을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2024년에는 이렇게 달라져요.

2024년 '푸른 용' 갑진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4년부터 많은 것들이 달라지는데요.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새해 바뀌는 정책들을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이 눈에 띕니다. 우선  다자녀 지원 혜택 기준이 3자녀에서 2자녀로 확대합니다. 또한 육아휴직 기간 급여가 확대되는데요. 종전에 12개월이던 육아휴직 기간이 18개월로 늘어납니다. 통상 임금의 100%를 받던 기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