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독서 40년의 변화-1988
"책 읽는 청소년의 모습은 시대를 담는 거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1980년대의 학생들이 두꺼운 번역 소설을 곱씹으며 꿈을 키웠다면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웹툰과 웹소설 속 빠른 전개와 매혹적인 캐릭터에 몰입합니다. 종이책을 넘기던 손길은 이제 스마트폰 화면을 스크롤하는 움직임으로 바뀌었고 '독서'라는 행위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형태와 내용은 전혀 다릅니다. 1988년, 동방생명이 전국 초중고
2025년 2분기 지역경제 성장률 0.4%
2025년 2분기, 우리 지역 경제는 여전히 침체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성장률은 0.4%에 머물며 두 분기 연속 1%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건설업의 깊은 불황이었는데, 전국적으로 고르게 영향을 미치며 대구와 전남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20% 가까운 급락을 보였습니다. 다행히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버팀목이 되며 전체 경제의
Z 세대가 꼽는 최고, 최악의 복지는?
요즘 취업 시장에서 Z세대 구직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단순한 ‘연봉’만이 아닙니다. 기업이 제공하는 복지 제도가 입사 지원의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성과급, 주 4일제, 자율 휴가처럼 실질적인 보상과 개인 시간을 존중하는 제도는 Z세대가 강력히 원하는 복지 1순위로 떠올랐습니다. 반면에, 회식이나 워크숍 같은 '의무 행사'는 오히려 최악의 복지로
2025년 8월 브랜드별 車 판매 순위
올해 8월, 국내 자동차 시장이 다시 한 번 활기를 띠었습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수출길이 넓어지고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 열기가 더해지며 완성차 업계가 5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간 겁니다. 현대자동차, 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 이른바 '국내 완성차 5인방'은 국내외에서 총 62만 대 이상을 판매하며 지난해 같은 달보다 더 많은
글로벌 혁신 지수 순위, 한국은?
한국이 또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발표한 '2025 글로벌 혁신 지수(Global Innovation Index, GII)'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4위를 기록하며 전 세계 혁신 강국의 반열에 올랐습니다. 이는 지난해 6위에서 두 계단 상승한 결과로,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순위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됩니다. 이제 한국은 스위스·
1957년 당시 서울 시민의 80%는 무직자
6.25 전쟁이 종전된 이후 당시 우리나라는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시에는 무직자가 넘쳐났었다고 합니다. 일자리를 구하고 싶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던 시절이었습니다. 서울시가 1957년에 조사한 간이 인구조사 통계에 따르면 당시 서울시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157만여 명이었고, 이중 남자가 79만 명, 여자가 78만 명이었습니다. 💡서울시내 남대문을 걸어가는 사람 10명 중
한국, 딸 선호도 세계 1위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한국 사회는 아들을 낳아야 한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아들 선호 사회’에서 ‘딸 선호 사회’로의 전환이 눈에 띄게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갤럽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딸을 선호하는 비율이 불과 30여 년 전보다 세 배 가까이 급증하며 세계
국민들이 선호하는 장례 방식은?
최근 국민들의 장례 방식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화장 후 자연장(自然葬)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건강문화사업단이 지난 5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희망하는 본인의 장례식 방식으로 '화장 후 자연장'이 30%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2021년 조사 당시 '화장 후 납골당'에
가장 비싼 대학 등록금 TOP 10
“등록금은 오르는데, 장학금은 제자리!” 대학생들의 푸념이 올해 현실이 되었습니다. 2025년은 등록금 규제가 시작된 2010년 이후 가장 큰 폭의 인상이 이뤄진 해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 주요 대학의 등록금은 900만 원대에 육박하며, 학생과 학부모의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2025년 대학 등록금은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학생 1인당 연간 평균
증권사 앱, 소비자 만족도 1위는?
주식 투자<직접 투자(개별 주식) 와 간접 투자(ETF, 펀드, 리츠, ETN 등)>가 대중화되면서 이제 증권사 앱은 단순한 금융 도구를 넘어, 투자자의 생활과 직결된 필수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해외 주식이나 다양한 금융 상품에 대한 접근이 늘어나면서 사용자들은 빠르고 안정적인 거래 환경뿐 아니라 편리한 서비스와
1993년 직딩들의 하루(근무 시간)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주 4.5일 근무제가 금요일 오후 조기 퇴근을 현실화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주 6일 근무가 일반적이었으며, 직장인들의 삶은 대부분 회사에서 보내는 시간으로 가득 차 있었던 점을 생각하면 시대의 변화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1993년 삼성생명이 서울지역 직장인 4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대별 즐겨보는 SNS와 앱
스마트폰 속 작은 아이콘이 세대를 가르는 경계가 되고 있습니다. 어떤 세대는 영상을 통해 여가를 즐기고, 또 다른 세대는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하루를 열어 갑니다. 최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모바일 앱 사용량 분석에 따르면, 30대 이하 세대는 유튜브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면 40대 이상은 카카오톡을 최우선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