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 상대 선택시 조건들!

씽크누리

재혼을 희망하는 '돌싱'(돌아온 싱글)들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초혼과는 확연히 다른 기준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재혼 전문 결혼 정보 회사 온리유와 비에나래가 전국 이혼 남녀 5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남성은 배우자의 경제력을, 여성은 외모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초혼 때 중요하게 여겼던 배우자 조건 중 재혼 시 비중이 크게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남성 초혼의 경우 응답자의 32.6%가 '현모양처'를 꼽아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이어 '학력'(22.1%), '출신지'(17.4%), '형제 중 순서'(13.9%) 순이었습니다.

온리유 측은 "남성들은 초혼 때 살림을 잘하는 현모양처형 여성을 선호했지만, 재혼 시에는 배우자의 사회생활 능력에 더 큰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여성의 경우 역시 초혼 시 중요하게 생각했던 '학력'이 34.5%로 가장 크게 비중이 줄어들었습니다. 다음으로 '형제 중 순서'(26.4%), '가문'(16.3%), '근면 성실'(14.7%)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관계자는 "여성들은 과거 남성의 학력을 경제력을 예측하는 중요한 잣대로 여겼으나, 재혼 시에는 이미 형성된 실제 재산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재혼 상대를 고를 때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게 된 점을 묻는 질문에는 남성의 31.4%가 '경제력'을 1위로 꼽았습니다. 이어서 '나이 차'(25.2%), '재(결)혼관'(20.9%), '공감 능력'(16.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은 30.6%가 '외모'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하며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다음으로는 '공감 능력'(28.3%), '나이 차'(21.0%), '재(결)혼관'(14.7%) 순으로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과거에는 필수 조건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고려 대상에서 밀려난 요소들도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남성은 '정조'(28.3%)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여자 많은 집안 기피'(25.2%), '조실 부모 가정 기피'(19.3%)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장남 기피'(30.6%)가 1위였고, '시집살이 여부'(27.5%), '여자 많은 집안 기피'(16.3%) 등이 주요 항목으로 꼽혔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네요~~

더 읽고 싶으시다면, 커피 한잔 가격으로 구독해보세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