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삶의 만족도는?

씽크누리

여러분은 현재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계신가요?

삶의 만족도는 단순히 자산이나 높은 연봉과 같은 물질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행복도 함께 느낄 수 있어야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통계청은 해마다 국민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조사 결과는 개인이 자신의 삶의 객관적 조건에 대해 얼마나 주관적으로 만족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10점 사이의 점수로 측정됩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2023년 기준으로 전년보다 0.1점 하락한 6.4점으로 4년 만에 다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동안 삶의 만족도는 2013년 5.7점에서 출발해 매년 상승했는데, 2018년에는 6.1로 높아졌으며, 2019년 6.0으로 하락했다가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상승과 하락을 거듭했습니다.

💡
한국의 삶 만족도, OECD 평균 밑돌아

2022년 삶의 만족도는 6.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OECD 기준으로 전체 38개 나라 가운데 33위로 하위권에 머물러있습니다.

특히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만족도는 하락했습니다. 소득이 월 100만 원 미만인 가구의 삶의 만족도는 5.7점으로 평균보다 0.7점 낮았습니다. 소득이 100만∼200만원 미만인 가구는 6.1점, 200만 원∼300만 원 미만인 가구는 6.2점이었습니다. 반면 소득이 600만 원 이상인 가구의 만족도는 6.6점으로 평균을 상회합니다.

연령별로 보면 삶의 만족도는 19∼29세와 30∼39세에서 각각 6.5를 기록했으며, 40∼49세 삶의 만족도는 6.6으로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50∼59세에서는 6.4로 떨어졌으며, 60세 이상은 6.2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삶의 만족도는 6.06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OECD 평균인 6.69점보다 0.63점 낮은 수치입니다. 이로 인해 한국은 38개국 중에서 만족도 순위가 33위로 하위권에 속했습니다. 한국보다 삶의 만족도가 더 낮은 나라는 튀르키예, 콜롬비아, 그리스, 헝가리, 포르투갈 등이 있습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네요~~

더 읽고 싶으시다면, 커피 한잔 가격으로 구독해보세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