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누리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제조업 로봇 밀도 세계 1위 국가는?

로봇과 자동화 기술의  발전은 산업 전반에 걸쳐 직업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향후 20년 동안 8억 개 이상 일자리가 자동화로 인해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제조업에서도 로봇의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제로봇연맹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직원 10명당 1대씩 로봇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 로봇 밀도 지수(직원 1만

Sports & Entertain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 프로야구 43년, 우승 역사는?

2024년 한국시리즈에서 기아타이거즈는 삼성라이온스를 4승 1패로 물리치며 가을 야구의 최종 승자가 됐습니다. 지난 1982년에 시작된 국내 프로야구는 올해로 43년의 역사를 기록합니다. 그 긴 세월 동안 가장 많은 우승컵을 들어 올린 팀은 어디일까요? 한국시리즈에서 가장 많이 우승한 팀은 해태 타이거즈(1982~2001)-KIA 타이거즈(2001~)입니다. 이 팀은 총 12회의 우승을

Cultur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꾸준히 사랑받는 스테디셀러 Top 10

최근 5년 동안 매월 한 달도 빠짐없이 100권 이상 판매되는 책들이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는 독서율을 높이기 위해 이러한 스테디셀러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책은 소설 분야의 '호밀밭의 파수꾼'입니다. 이 작품은 무려 19년 6개월 동안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2위에 오른 책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으로 2006년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세계에서 임대료가 가장 비싼 곳은?

세계에서 가장 임대료가 비싼 곳은 어디일까요?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기업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C&W) 코리아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임대료 도시상권 순위를 발표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상권은 이탈리아 밀라노의 비아 몬테나폴레오네입니다. 명품 브랜드 거리로 유명한 이곳의 임대료는 지난 2년 동안 33% 증가하여 올해에는 3천70만 3,966원에 달했습니다. 작년에 이어 미국 뉴욕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최고의 직장 왕좌 빼앗긴 삼성전자?

매년 미국의 경제 전문지 포브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직장을 선정하여 발표합니다. 이 명예로운 타이틀을 차지한 기업은 상당한 홍보 효과를 누리기도 합니다. 지난 5년 동안, 삼성전자는 이 영예로운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삼성전자는 세계적으로도 인정받아 왔습니다. 💡삼성전자 최고의 직장 1위 자리 내줘그러나 올해 삼성전자의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세계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내 재산, 상속보다 자신을 위해 쓴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노인들 중 4명 중 1명은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주기보다는 본인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응답 비율은 24.2%로 2008년 조사에서 9.2%였던 것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14년에는 15.2%, 2020년에는 17.4%로 꾸준히 상승하여 이번 조사에서는 처음으로 20%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3평부터 시작된 한국인의 주거사

우리나라의 국민 평형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3~4인 가족 거주에 특화된 공급면적 32~35평형의 아파트가 국민 평형으로 불렸다가 최근에는 1~3인 가구 거주에 적합한 23~26평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으로부터 반세기 전, 1970년대에는 단칸방에서 엄마, 아빠, 자녀 3~5명이 함께 지냈습니다. 다시 말하면 3~7평 정도의 방에서 보통 5~7명이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나의 장례식장에서 틀었으면 하는 노래는?

여러분은 자신의 죽음을 상상해 본 적이 있나요? 그 중에서도 나의 장례식장에 어떤 노래가 울려 퍼지면 좋을지 생각해 보신적이 있나요? 일산 백병원 호스피스 완화의료센터에서 진행한 '내 장례식에 이 노래를 틀어줘'라는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의외의 노래들도 있었는데요. 어떠한 노래들이 장식되길 원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위는 아이유의 '밤편지'입니다.  장례식장에서 가장 틀었으면 하는 노래로 꼽혔습니다. 2위는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중국 최고의 부자 순위

중국판 포브스라 불리는 후룬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후룬 선정 100대 부자' 순위에 따르면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를 창립한 '장이밍'이 중국 최대 부자로 등극했습니다. 재산은 전년도보다 43% 증가한 3,500억 위안(약 67조 원)을 기록해 중국 최고의 부자가 되었습니다. 2위는 지난해 1위를 차지했던 농푸산취안의 창업자인 '중산산' 회장이 차지했으며 그의 재산은 전년 대비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브랜드 가치 아시아 기업 중 1위는?

2024년 아시아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글로벌 기업 중 가장 높은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은 기업은 어디일까요?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그룹 산하의 종합 조사 회사인 닛케이 리서치가 발표한 '글로벌 브랜드 서베이 2024'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100대 브랜드 가운데 당당히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닛케이 리서치는 이번 조사에서 브랜드 인지도 등을 나타내는 '브랜드력'과 상품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글로벌 영어 지수! 한국의 순위는?

매년 한국인들이 영어 학습에 투자하는 시간과 비용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 효과는 미미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어학 교육 기업 'EF 에듀케이션 퍼스트(EF)'가 비영어권 국가 및 지역의 영어 능력을 측정한 2024년판 '영어 능력 지수'에 따르면 한국은 전 세계 순위에서 50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보다 한 계단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 학교 학생 수가 만 명 이상이었다고?

70년대 초 매동국민학교 아침 조회시간저출산의 영향으로 현재는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만 과거에는 학교마다 학생들이 넘쳐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특히 1차 베이비붐 세대가 그렇습니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태어난 아이들이 학교에 입학하던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은 그야말로 '콩나물 교실'이라는 표현을 실감케 했습니다. 동아일보의 1967년 3월 18일 자 기사에 따르면 서울시내 공립 국민학교들은 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