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591만 가구 시대

씽크누리

최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5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가구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4년 말 기준 591만 가구에 달합니다. 전체 가구의 26.7%를 차지하는 수치로 약 1,546만 명이 반려동물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3명은 반려동물과 함께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가운데 특히 강아지를 기르는 가구가 많았으며, 그 수는 455만 가구에 이릅니다. 이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품종은 몰티즈푸들입니다. 귀엽고 순한 성격의 소형견들이 여전히 반려견 선택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에는 사랑뿐 아니라 현실적인 어려움도 따릅니다. 전체 반려동물 가구 중 약 80.1%는 반려동물을 혼자 집에 두는 경우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이 혼자 있는 시간은 하루 평균 5시간 54분에 달했습니다.

💡
펫팸족 1,546만 시대, 반려생활의 진짜 현실 - 월 19만 원, 치료비 100만 원

양육 비용 역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현재 반려동물 1마리를 키우는 데 드는 월평균 비용은 약 19만 4천 원으로, 2년 전보다 4만 원가량(26%) 상승했습니다. 이 중 사료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35.1%), 간식과 건강보조식품이 그 뒤를 잇습니다. 정기배송 서비스, 맞춤 사료, 건강 간식 등 반려동물 맞춤형 소비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반려동물 치료비 지출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 주목되는데, 최근 2년 이내 반려동물 치료를 위해 비용을 지출한 가구는 70.2%에 달하며 평균 치료비는 102만 7천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불과 2년 전보다 거의 2배에 가까운 수치로, 단 한 번의 질병이나 사고가 큰 경제적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현실은 반려동물 보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배경이 되기도 합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면서 느끼는 어려움으로는 여행이나 외출 시 맡길 곳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가장 크게 꼽혔습니다(39.1%). 그 외에도 양육 비용 부담(34.1%)과 배설물, 털 관리의 번거로움(33.9%)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삶은 점점 더 많은 이들에게 일상이 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책임과 현실적 고려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반려는 단순한 애정 표현을 넘어, 꾸준한 시간과 경제적 여유, 그리고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삶의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1 이달에 읽은
무료 콘텐츠의 수

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네요~~

더 읽고 싶으시다면, 커피 한잔 가격으로 구독해보세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