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크누리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은퇴 후 살기 좋은 아시아 국가 1위는?

프랑스계 투자은행 나티시스의 '세계은퇴지수(GRI)'가 있습니다. GRI에 따르면 세계에서 은퇴 후 살기 좋은 나라 순위로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일본과 싱가포르는 각각 23위와 25위에 올랐으며, 중국은 38위를 기록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요? 한국은 세계에서 은퇴하기 좋은 나라 순위에서 전 세계 20위를 차지하며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체류 외국인, 대구 인구 넘어

한국에 머무는 외국인의 수가 26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지난 2021년에는 195만 7,000명이었던 국내 체류 외국인이 2022년에 이르러서는 220만 명을 초과하더니, 올해는 마침내 260만 명을 돌파하여 지난 3년 동안 무려 65만 명이 증가했습니다. 💡외국인 고용 급증, 100만 명 돌파 임박체류 중인 외국인의 증가와 함께 외국인 취업자 수도 급증하여 현재 약 92만

Sports & Entertain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운동 하나로는 먹고 살기 힘들다?

운동선수들 중에는 서장훈 씨나 안정환 씨처럼 지속적인 방송 활동으로 제2의 전성기를 누리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대한체육회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은퇴한 운동선수들의 현재 상황을 조사한 결과, 실업률이 37.6%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실업률은 몇 년째 30%대 후반에서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은퇴한 운동선수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소년범죄의 상당수가 영화에서 모방했다?

영화가 범죄를 유발한다는 생각에 여러분은 동의하시나요? 이 주제는 여전히 논란이 많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에는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영화가 청소년들의 강력 범죄를 촉진하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졌다는 사실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독자들은 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교문화가 강하게 자리 잡고 있던 1960년대에는 이러한 편견이 매우 심했습니다. 1965년 당시 내무부(현 행정안전부)는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올 상반기, 어떤 업종이 채용공고 많았나?

인력 채용 업체인 사람인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산업별 공고와 이력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0개 업종 중 단 3개만이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서비스업은 9.3%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의료·제약·복지 분야는 2.2%, 교육업은 1.1% 소폭 상승했습니다. 반면, 감소한 업종에서는 IT·웹·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죽기 전에 후회하는 5가지

모든 인간은 시간의 흐름 앞에서 결국 유한한 삶의 끝인 죽음을 맞이하게 됩니다. 잘 죽는다는 것은 어찌보면 잘 살아간 결과물일 것입니다. 사실, 각 개인이 느끼는 '후회하는 삶'의 정의는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후회가 있습니다. 미국의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줄리는 '죽기 전 후회하는 5가지'를 소개했습니다. 그녀는 9년 동안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한국인 5명 중 1명 고혈압 진단?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이 흡연자이며, 6명은 월 1회 이상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결과는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른 것입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흡연율은 2022년보다 1% 증가했으며, 음주율도 약간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비만율 역시 2022년의 32.5%에서 33.7%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또한, 30세 이상 인구 중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100세 노인의 장수비밀 3가지

인간은 누구나 오래 살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건강하지 않은 장수는 재앙입니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건강하게 100세를 맞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인 4만여 명의 혈액을 추적 조사했습니다. 이들 중 100세에 도달한 사람은 1,224명으로, 이는 전체의 2.7%에 해당합니다. 연구진은 혈액검사를 통해 12가지 지표를 점검했습니다. 이 지표들은 염증, 대사,

재미로 보는 옛날 통계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장래희망, 교사부터 뷰티 디자이너까지

어린 시절, 어른들이 자주 묻던 질문 중 하나는 "장래 희망이 무엇이냐?"였습니다. 어린아이일수록 멋진 직업을 꿈꾸지만,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현실적인 답변을 하게 됩니다. 2023년 교육부가 초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들은 운동선수와 의사, 교사를 선호했고, 중학생들은 교사, 의사, 운동선수를 꼽았습니다. 고등학생들은 교사, 간호사, 생명과학자를 장래 희망으로 삼았습니다. 직업의

Economy & Tech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국내 웹 검색 시장 변화, 네이버의 고민?

국내 웹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가 여전히 1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점유율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오픈AI가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향후 검색 시장의 판도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분석 사이트인 인터넷트렌드에 따르면, 국내 웹 검색 시장 점유율은 네이버가 54.73%로 1위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구글이 37.

Cultur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시인들이 좋아하는 시와 시인은?

창작과 비평, 문학과 지성사 시선 출신 시인 80명에게 지난 100년간 출판된 시들 중에서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시와 시인을 물었습니다.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는 무엇일까요?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작품으로 백석 시인의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이 선정되었습니다. 가족과 떨어져 외로운 떠돌이로 사는 이의 삶을 편지 형식으로 그린 서정시입니다. 인간 누구나가 겪을 수 있는

Life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대한민국의 평균 나이는 얼마나 될까?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 남성의 평균 연령은 43.7세, 여성은 45.9세로 여성이 남성보다 2.2세 더 높았습니다.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연령은 52세(92만 8,584명)였으며, 주민등록 세대 수는 총 2,391만 4851세대로 전년도(2,370만 5,814세대) 대비 0.88% 증가했습니다. 💡대한민국의 평균 나이는 44.8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