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GDP는 전 세계에서 몇위?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 15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는 대한민국 경제의 현주소에 대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냉정한 전망을 담고 있습니다. 바로 대한민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순위가 올해 세계 37위로 세 단계 하락하며 특히 지난 22년간 유지해온 대만과의 우위를 내어주고 역전당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한국 경제가 다른 신흥국의 빠른 성장 속도에 추월당하며 마주한 구조적 도전을 시사합니다. 본 보고서는 IMF가 제시한 구체적인 수치와 전망을 토대로 한국, 대만, 그리고 일본의 1인당 GDP 추이를 면밀히 분석하고 동아시아 경제 지형의 변화 양상을 심층적으로 서술합니다.

IMF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1인당 GDP는 3만 5,962달러로 지난해 기록한 3만 6,239달러 대비 0.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세계 순위는 지난해 34위에서 37위로 3단계 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순위 하락은 한국의 절대적인 경제 규모가 줄어들어서라기보다는 다른 신흥국들이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한국을 앞지르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한국은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 시기를 올해 4월 전망(2029년)보다 1년 앞당긴 2028년으로 예측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순위 하락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IMF는 한국의 순위가 올해 37위에서 시작하여 내년에는 38위, 2028년에는 40위, 그리고 2029년에는 41위까지 밀려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더 나아가 2030년 한국의 1인당 GDP 전망치는 4만 4,262달러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어 5만 달러 선 진입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
韓 1인당 GDP 37위로 하락 - 4만 달러 시대, 대만보다 2년 늦는다

이번 IMF 전망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대만의 약진입니다. 대만은 지난해 38위였던 1인당 GDP 세계 순위를 올해 35위로 3단계 끌어올리며 한국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만의 1인당 GDP는 지난해 3만 460달러에서 올해 3만 7,827달러로 무려 11.1%나 급증할 것으로 예측되었습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의 핵심 동력은 보고서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힘입은 것입니다.

대만의 성장세는 장기적으로도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IMF는 대만이 2026년에 1인당 GDP 4만 달러 시대를 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2030년에는 1인당 GDP 5만 252달러를 달성하여 5만 달러 선을 넘어설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같은 시기 한국의 예상치인 4만 4,262달러보다 6,000달러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이처럼 대만이 반도체 주도 성장을 바탕으로 한국을 앞서 나가면서 동아시아의 경제적 역학 관계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인당 GDP가 지난해 3만 2,443달러에서 올해 3만 4,713달러로 약 7%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세계 순위는 40위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이 1인당 GDP 4만 달러대에 진입하는 시점은 한국보다 1년 늦은 2029년으로 예측되었으며 2027년부터 2030년까지는 42위로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일본의 순위는 한국보다 낮지만 GDP 자체의 증가율은 한국보다 높다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올해 1인당 GDP 세계 1위는 세계적인 조세회피처로 알려진 리히텐슈타인으로 23만 1,071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뒤이어 룩셈부르크(14만 6,818달러), 아일랜드(12만 9,132달러), 스위스(11만 147달러), 아이슬란드(9만 8,150달러)가 상위 5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은 8만 9,599달러로 8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IMF의 이번 '세계경제전망' 보고서는 한국 경제가 고착화된 성장 둔화와 새로운 성장 동력 부재로 인해 세계 순위에서 밀려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특히 대만이 반도체 산업의 강력한 성장세를 발판 삼아 한국을 역전하고 5만 달러 시대를 먼저 열 것으로 예측되면서 한국은 주력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동력 발굴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안게 되었습니다.

한국이 4만 달러 시대를 예상보다 빨리 열더라도 주변국 및 신흥국들의 성장 속도가 더욱 빠르다면 세계 속에서의 상대적 위상은 계속해서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IMF의 이번 전망은 한 이 경제 구조를 혁신하고 생산성을 높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강력한 메시지라 할 수 있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