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딸 선호도 세계 1위
불과 한 세대 전까지만 해도 한국 사회는 아들을 낳아야 한다는 관념이 지배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아들 선호 사회’에서 ‘딸 선호 사회’로의 전환이 눈에 띄게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갤럽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딸을 선호하는 비율이 불과 30여 년 전보다 세 배 가까이 급증하며 세계 1위에 올랐습니다. 이는 과거 아들을 선호하던 사회적 분위기와는 완전히 달라진 모습입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전 세계 44개국 성인 4만 4,78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한국인의 28%가 딸을, 15%만이 아들을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딸 선호도는 일본, 스페인, 필리핀(각 26%), 방글라데시(24%)보다 높은 수치이며, 딸과 아들 선호도 격차는 10%포인트 이상 벌어졌습니다.
특히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만 아들을 조금 더 선호할 뿐, 50대 이하에서는 모두 딸을 더 원했으며 30·40대 여성의 경우 딸 선호도가 4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 젊은 세대의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습니다.
1992년 동일 조사에서는 아들을 원한다는 응답이 58%에 달했던 반면, 딸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습니다. 당시 50대 이상은 79%, 20대조차 42%가 아들을 원한다고 답해 현재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습니다.
이와 함께 '결혼하면 아들이 있어야 한다'는 인식도 1995년 45%에서 2008년 24%로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출생성비 역시 1990년 여아 100명당 남아 116.5명으로 심각했던 남아 쏠림 현상이 2008년 이후 자연 성비(103~107명) 범위 안으로 들어섰고, 2023년에는 105.1명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히 ‘아들보다 딸을 더 원한다’는 선호 변화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가 더 이상 전통적 성 역할에 얽매이지 않고, 가족·양육·성평등에 대한 가치관이 크게 달라지고 있는 것입니다.
30여 년 전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던 변화가 현실이 된 지금,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딸 선호 사회'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제는 아들, 딸 구분이 중요한 시대가 아니라, 어떤 성별이든 아이 한 명 한 명이 존중받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