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금 지급을 가장 많이 늦추는 보험사는?

2025년 상반기 국내 보험사들이 지급한 총 보험금 중 10분의 1에 가까운 금액법정 기한을 넘겨 지연 지급된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 권익 침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통계를 기반으로 한 집계 결과에 따르면 총 10조 6,416억 원의 보험금 중 9,849억 원(9.3%)이 법정 기한을 넘겨 지연 지급됐습니다. 이것은 보험업계의 오랜 숙제인 보험금 지급 지연 문제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보험업계의 전체 보험금 지급 지연율은 2020년 6.8%를 기록한 이래로 거의 매년 상승하며 심각성을 더하고 있습니다.

💡
2020년: 6.8%, 2021년: 8.1%,
2022년: 8.4%, 2023년: 8.3% (일시적 소폭 하락),
2024년: 8.6%,
2025년 상반기: 9.3%

이러한 수치는 보험금을 제때 받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으며 보험금 지급의 신속성과 적정성에 대한 보험사의 책임 이행에 의문이 제기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전체 보험사의 지급 지연율 상승 추세 속에서 특히 생명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지연 문제가 손해보험사에 비해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2025년 6월 기준으로 손보사의 지급지연율은 8%인 반면, 생보사의 지급지연율은 20%로 두 배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21개 생명보험사 중에서는 보험금 지급 지연율이 50%를 상회하는 곳이 다수 나타나 회사별로 심각한 편차를 보였습니다.

상반기 동안 지급 지연율이 가장 높았던 세 곳의 생명보험사는 지급된 보험금의 절반 이상을 법정 기한을 넘겨 지급했습니다.

순위생명보험사지급 지연율지연 지급액총 지급액
1위KDB생명52.9%37억 원70억 원
2위신한라이프52.8%469억 원889억 원
3위iM라이프50.0%4억 원8억 원

KDB생명이 지급한 70억 원 중 37억 원, 신한라이프는 889억 원 중 469억 원이 지연 지급되어 두 회사 모두 약 53%에 달하는 지연율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보험금 청구 건의 상당수가 지급 심사 장기화 또는 지연 사유에 노출되었음을 의미하며 소비자들의 금융 불편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지급 지연율 관리가 우수했던 생명보험사들도 있었습니다.

  • 라이나생명: 총 1,838억 원 중 83억 원이 지연 지급되어 4.5%의 가장 낮은 지연율을 기록했습니다.
  • 한화생명: 7.1%의 지연율을 보였습니다.
  • 처브라이프생명: 10.0%의 지연율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극단적인 격차는 보험사별 보험금 심사 시스템, 프로세스의 효율성, 고객 대응 수준 등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소비자들은 보험 가입 시 지급의 신속성 또한 중요한 고려 요소로 삼아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보험금 지급 지연은 소비자의 유동성 및 재정 계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큼 금융당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험사들의 자발적인 개선 노력이 필수적입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