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은퇴 후 거주하고 싶은 지역은?

"은퇴는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수도권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다시 고향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10명 중 7명 이상이 비수도권 지역 중소기업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귀촌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여론조사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거주 베이비부머 세대(1955~1974년생)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귀촌 의향 조사 결과, 응답자의 73%가 비수도권 중소기업 취업 기회가 주어질 경우 귀촌 의사가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남성 응답자의 귀촌 의향 비율은 79.9%로 은퇴 이후에도 지방에서 새로운 직업적·생활적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노년의 삶=은퇴 후 여유'라는 전통적 인식에서 벗어나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며 건강하게 살아가는 제2의 인생'을 중시하는 인식 전환으로 해석됩니다.

귀촌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365명 중 가장 많은 이들이 꼽은 이유는 '건강한 생활 유지'(24.6%)였습니다. 이어 '여유로운 생활과 휴식'(22.9%), '자연 친화적 환경'(20.7%), '주거비·생활비 절감'(15.6%)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히 '귀향'이 아닌, '삶의 질을 회복하기 위한 이동'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베이비부머 세대에게 귀촌은 도시의 경쟁적 환경에서 벗어나 심리적 안정과 신체적 건강을 동시에 추구하는 '리셋'의 과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귀촌 희망 지역으로는

충청권(32.9%)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습니다.

강원권(27.4%),

호남권(15.9%),

영남권(10.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충청권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이유는 서울 및 수도권과의 지리적 접근성, 생활 인프라의 안정성, 그리고 자연환경의 쾌적함이 모두 조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수도권과 완전히 단절되지 않으면서도 '절제된 시골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최적지로 인식되고 있는 셈입니다. 귀촌을 단순한 은퇴 후 정착이 아닌 '노후의 일터로서의 이동'으로 보는 시각도 강하게 드러났습니다.

은퇴후 희망 직무 분야로는

관리·사무직(30.7%),

서비스·판매직(20.7%),

농림어업 종사자(15.9%),

생산·제조직(14.8%)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여전히 '생산적 역할'을 유지하며 사회와 연결되길 원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특히 전문성과 경험을 살릴 수 있는 관리·사무직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일을 통한 사회적 관계 유지와 자아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세대적 특징을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희망하는 임금 수준은 얼마나 될까요?

월 200만~250만 원 미만이 32.6%로 가장 높았으며 150만~200만 원 미만 30.7%, 250만~300만 원 미만 26.8% 순이었습니다. 응답자들의 평균 희망 월 임금은 227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 고비용 구조를 벗어나 생활비 부담을 줄이면서도 기본적 생활 안정이 가능한 수준으로 수입보다 지속 가능한 삶을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