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지역경제 성장률 0.4%

2025년 2분기, 우리 지역 경제는 여전히 침체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성장률은 0.4%에 머물며 두 분기 연속 1%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건설업의 깊은 불황이었는데, 전국적으로 고르게 영향을 미치며 대구와 전남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20% 가까운 급락을 보였습니다.

다행히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버팀목이 되며 전체 경제의 추락을 막았지만 권역별로는 뚜렷한 온도 차가 드러났습니다.

수도권은 성장세를 보인 반면, 호남과 동남권은 역성장을 기록하는 등 지역 경제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드러난 분기였습니다.

💡
수도권만 성장, 지방은 역주행… 2분기 성장률 0.4%

권역별 성장세를 보면 지역별 편차가 뚜렷했습니다. 수도권은 1.6% 성장하며 비교적 선방했고, 대경권도 0.1%로 근소하게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호남권은 -2.0%, 동남권은 -1.0%, 충청권은 -0.4%로 모두 역성장을 면치 못했습니다. 일부 권역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가장 큰 원인은 역시 건설 경기 불황입니다. 2분기 건설업 지역내총생산(GRDP)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0.8% 감소했습니다.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 1분기(-12.4%)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감소 폭입니다.

특히 2024년 2분기부터 무려 5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올해 들어서는 두 분기 연속 두 자릿수 감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권역별로는 대경권이 -18.5%, 호남권이 -15.6%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수도권(-9.5%), 동남권(-8.1%), 충청권(-8.0%) 역시 모두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예외가 없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무려 -20.3%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고, 전남(-18.1%), 경북(-17.5%)도 크게 줄었습니다. 반면, 부산(-3.1%), 서울(-3.7%), 인천(-5.9%)은 감소 폭이 비교적 완만했습니다.

다행히도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일부 버팀목 역할을 했습니다. 광업·제조업 GRDP는 2.0% 증가하며 전분기(0.4%)보다 증가 폭이 확대되었습니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수출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수도권(4.5%)과 대경권(4.4%)은 반도체와 전자부품 생산 증가 덕분에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지만, 동남권(-1.7%)과 호남권(-1.5%)은 오히려 감소세를 보이며 대조를 이뤘습니다.

서비스업 GRDP도 개선세를 보였습니다. 2분기 서비스업은 전기 대비 1.2% 성장하며 직전 분기(0.6%)의 두 배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도·소매업이었습니다. 2023년 2분기 이후 무려 8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왔던 도·소매업이 이번에 0.6% 증가로 전환하며 오랜 침체에서 벗어났습니다.

서비스업 성장세는 수도권(1.8%), 충청권(1.2%), 동남권(1.0%)에서 두드러졌습니다. 금융·보험업, 공공행정, 보건·복지 분야가 호조를 보인 덕분입니다. 그러나 대경권(-0.3%)호남권(-0.2%)은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위축으로 역성장을 기록하며, 서비스업에서도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종합적으로 보면, 2025년 2분기 지역 경제는 건설업 부진이 계속된 가운데,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일부 하락세를 완화한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지역별로 성장과 침체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고 있어, 경제 양극화와 구조적 불균형 심화가 중요한 과제로 남고 있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