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 경제성장 ‘빨간불’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는 최근 2025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8%로 대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지난 2월 발표한 1.6%에서 0.8% 포인트 낮아진 수치로, KDI가 처음으로 0%대 성장을 공식 전망한 것이어서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KDI만의 판단은 아닙니다. 최근 국내외 주요 경제기관들도 한국의 성장 전망에 대해 연이어 하향 조정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IMF(국제통화기금): 연초 2.0% → 최근 1.0%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초 2.0% → 최근 1.5%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연초 2.1% → 최근 1.5%

한국은행: 기존 1.9% → 1.5%

줄줄이 하향 조정된 성장률 전망은 국내 경기 둔화에 대한 공통된 경고음으로 읽힙니다.

💡
KDI, 한국 경제성장률 0.8%로 하향…사상 첫 ‘0%대 성장’ 전망

전문가들은 수출 둔화, 내수 부진, 산업 전반의 성장세 약화를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 인상에 따른 글로벌 교역 환경 악화가 한국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건설업을 포함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전반적인 성장세 둔화도 경제 전반의 활력을 떨어뜨리는 요소입니다. 특히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민간소비와 기업투자까지 위축되고 있어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도 높지 않다는 평가입니다.

KDI는 보고서를 통해 “대외 수요 둔화와 투자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올해 경제 전반의 회복세가 예상보다 크게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처럼 주요 기관들이 한목소리로 한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내놓으면서 정책 당국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재정·통화정책의 조율은 물론,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내수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구조 전환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전문가들은 “성장률 1% 이하의 시대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치지 않을 수 있다”며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와 산업 구조 재편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