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서울시내 주요 상권 공실률 추이

최근 서울 주요 가두 상권의 빈 점포가 소폭 줄어들면서 상권이 서서히 회복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발표한 '1분기 리테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명동, 홍대, 청담 등 서울 주요 가두 상권의 평균 공실률은 15.1%로 지난해 같은 기간(16.5%)보다 1.4%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 100개 점포 중 약 17개가 비어있던 것에 비해 올해 1분기에는 15개 정도로 빈 점포 수가 감소한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큰 공실률 하락을 보인 곳은 홍대 상권으로, 4.4%포인트 떨어진 10.0%를 기록했습니다. 이어서 청담(-3.4%p, 19.1%→15.7%), 명동(-2.3%p, 7.6%→5.2%), 강남(-1.8%p, 20.7%→18.9%), 한남·이태원(-1.5%p, 12.3%→10.8%) 순으로 공실률이 하락하며 상권 활성화를 이끌었습니다.

💡
1분기 공실률 15.1% → 서울 상권 점진적 회복

반면, 성수 상권은 3.0%포인트 상승한 3.4%의 공실률을 기록했으며, 가로수길은 0.4%포인트 상승한 41.6%로 여전히 높은 공실률을 보였습니다.

보고서는 내수 경기 위축에도 불구하고 일부 상권에서는 신규 브랜드 유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청담 인근 도산공원에 문을 열 예정인 의류 브랜드 '마르디 메크르디'와 명동에 개점을 준비 중인 화장품 브랜드 '티르티르'를 꼽았습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는 "서울 가두 상권은 연간 기준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히며, 앞으로의 상권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비쳤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활동 증가와 더불어 상권별 맞춤형 전략이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본 자료는 대한민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되며, 모든 내용과 이미지의 권리는 작성자에게 있습니다. 작성자의 사전 동의 없이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