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1957년 당시 서울 시민의 80%는 무직자
6.25 전쟁이 종전된 이후 당시 우리나라는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그러다보니 당시에는 무직자가 넘쳐났었다고 합니다. 일자리를 구하고 싶어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던 시절이었습니다. 서울시가 1957년에 조사한 간이 인구조사 통계에 따르면 당시 서울시에 거주하는 총 인구는 157만여 명이었고, 이중 남자가 79만 명, 여자가 78만 명이었습니다. 💡서울시내 남대문을 걸어가는 사람 10명 중 8명은 무직자였던 시절전체 인구 157만 명 중 13세 이하 55만 명을 제외하고 14세부터 75세까지 직업을 조사했더니 일정한 직업이 있는 사람은 32만 명에 불과했습니다. 비율로 보면 20% 정도였습니다. 당시 한국은 6·25전쟁을 치렀고 1950년대에는 미국 원조(주로 미국 국제협조처 ICA )에 크게 의존하던 시기였습니다. 전쟁 피해로 산업 기반이 거의 파괴된 상황에서 정부 재정의 상당 부분이 원조 물자로 충당되었습니다. 미국의 원조물자인 원면 · 원당 · 소맥 등의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쓰고 읽을 수 있습니다.